>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MAKE로 블로그 콘텐츠를 자동 생성해보자! - 2단계. GPT로 전체 글 개요 작성하기

6. 일잘러 비법

by 마켓플레이어, 마케터 봉 2024. 11. 19. 12:25

본문

자, 이제 본격적으로 MAKE를 써보자.

 

MAKE의 모듈로 구글 스프레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Watch New Rows]를 선택한다.

 

Add 버튼을 누른 후 구글 계정과 연결한다.

 

그럼 아래 이미지와 같은 화면이 뜬다.

파일을 어디서 찾을 건지 설정한다.

보통은 기본 설정값 그대로 쓰면 된다.

다만 Spreadsheet ID 는 클릭하여 파일을 찾으면 된다.

Table contains headers는 헤더, 즉 구분하는 제목 같은게 있는지 묻는거다. 스프레드 시트 1행에 보통 구분하기 위해 주제, 개요 등을 쓰니, 이 부분도 Yes로 하자.

Row with headers는 헤더의 갯수를 의미하는데, 넉넉하게 A부터 Z까지로 표시하자.

Limit은 한번 시나리오가 구동될 때 몇개까지 작동할건지 여부인데, 블로그 글이니까 1개만 하자.

 

다음으로 OpenAI 모듈의 "Create a Completion"을 선택한다.

 

마찬가지로 Add 버튼을 눌러, 계정을 연결해야하는데, Open AI 의 API 키값을 넣으면 된다.

API 키 값은 아래 글을 참고하면 된다.

https://marketerbong.tistory.com/67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서 챗GPT 사용하기 (확장프로그램 편)

일잘러 마케터라면 이미 chatGPT는 선택이 아닌, 필수로 사용 중일 것이다.하지만 openAI 사이트에서 챗GPT를 직접 키고, 질문하고. 그리고 답변이 쌓이다보니, 뭔가 많이 불편했을 것이다. 그렇기에

marketerbong.tistory.com

 

그리고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Messages에서 Role을 User로 선택한 다음,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된다.

 

[프롬프트]

블로그 게시물을 작성할 예정이니 개요를 작성해 주세요.

주제 : {{해당 주제}}

#### 개요 구조 ####
[요점 요약]

소개 관련 소제목 출력] [소개 관련 내용 출력
소개 관련 내용 출력] [소개 관련 내용 출력

[개발 관련 소제목 인쇄]
개발 관련 내용 출력] [개발 관련 내용 출력

[전환 관련 소제목 인쇄]
전환 관련 콘텐츠 출력] [전환 관련 콘텐츠 출력

결론 관련 소제목 인쇄] [결론 관련 내용 인쇄
결론 관련 콘텐츠 출력] [결론 관련 콘텐츠 출력

 

 

{{해당 주제}}는 본인이 주제를 입력한 열을 찾으면 된다.

만약 위의 구글 스프레드 시트가 잘 세팅되었다면, 프롬프트창 옆에 아래 이미지와 같이 뜰 것이다.

각 열마다 제목이 입력되었으면, 제목이 뜰 거고, 아니라면 영문으로 열의 이름이 뜰 것이다.

 

그 다음 새로운 구글 스프레드 시트를 모듈로 선택한 다음, "Add a Row"를 클릭한다.

 

다른 건 다 필요 없고, 정리한 개요 값을 넣을 필드를 선택한다.

난 F열에 넣을 거라, F열에 결과값을 넣었다.

 

마찬가지로 해당 칸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뜬다. 이 중 Result를 누르면 된다.

 

만약 위와 같은 게 안뜬다면, [Run once]로 전체 시나리오를 시작하면 뜬다.

 

그리고 저장한 다음, 다시 Run once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개요가 잘 뜬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